DWY4YU8dwpNjzdlShgDPlGEMGiiZlYit8ufkzM3z
Bookmark
내부링크 위젯

Study smart, speak real,explore Korea.

Pick your level or browse the latest posts—TOPIK study, everyday phrases, culture insights, and real-life tips in Korea.

📌 Expressing Obligation in Korean: -아/어야 되다/하다


✅ Must / Have to in Korean: -아/어야 되다 vs -아/어야 하다

Need to say “I have to…” in Korean? Master -아/어야 되다 and -아/어야 하다 with clear rules, everyday examples, and quick cultural tips. 한국어로 “~해야 한다/돼요”를 가장 자연스럽게 말하는 법을 정리했어요.

📑 Table of Contents (tap to open)
  1. What it means
  2. How to form
  3. Everyday examples
  4. 되다 vs 하다
  5. Common mistakes & fixes
  6. Mini dialogue
  7. Your turn
  8. FAQ

1) What does -아/어야 되다(하다) mean?

-아/어야 되다 / -아/어야 하다 states an obligation or necessity:

  • “I must… / I have to…”
  • “You should…” (stronger than simple advice)

일상 책임, 규칙 준수, 약속 이행 등을 말할 때 자주 씁니다. 예: 오늘 안에 끝내야 돼요.

2) How to form it

Step 1 — Choose -아/어야:

  • Verb stem ends with ㅏ/ㅗ → -아야 (가, 보→봐)
  • Otherwise → -어야 (먹어야, 마시어야→마셔)
  • 하다 verbs → -해야 (공부해야)

Step 2 — Add 되다/하다: 말끝은 시제/높임에 맞춰 굴절

  • 야 돼요 / 가야 해요
  • 어야 됐어요 / 먹어야 했어요 (past necessity)
  • 공부해야 될 거예요 / 공부해야 할 거예요 (future/guess)

3) Useful everyday examples

Korean RR English
약을 먹어야 해요.yageul meogeoya haeyoI have to take medicine.
내일까지 숙제를 해야 돼요.naeil-kkaji sukjereul haeya dwaeyoI must finish the homework by tomorrow.
오늘은 일찍 자야 돼요.oneureun iljjik jaya dwaeyoI should sleep early today.
운전면허가 있어야 해요.unjeon-myeonheoga isseoya haeyoYou need a driver’s license.
한국에서는 신발을 벗어야 돼요.hangugeseoneun sinbareul beoseoya dwaeyoYou have to take off your shoes in Korea.

4) 되다 vs 하다 — is there a difference?

  • -아/어야 하다 → 다소 문어체/격식 느낌
  • -아/어야 되다 → 구어체에서 매우 흔함

둘 다 자연스럽고 의미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. 하나를 골라 일관되게 쓰면 충분해요.

5) Common mistakes & fixes

  • 철자: 되요(X)돼요(O). 예) 해야 돼요.
  • 금지 vs 의무 혼동:가면 안 돼요’(must not go)가 기본형. ‘안 가야 돼요’는 부자연스러울 수 있어요.
  • 띄어쓰기: -어야 돼요처럼 ‘-어야’와 ‘돼요’를 띄어 쓰는 것이 원칙(문장부호/리듬에 따라 예외적 붙임 가능).
  • 과거 의무 표현: “그때 했어야 했어요”를 잊지 않기. (했어야 돼요도 구어에서 들리지만 표준적 설명은 ‘했어야 했어요’가 명확)

Common mistake: Overusing double obligation

꼭 반드시 해야 돼요”처럼 의미가 겹치면 군더더기예요. “반드시 해야 돼요” 또는 “꼭 해야 돼요”로 간결하게.

Common mistake: Using obligation where advice fits better

친근한 권유는 -는 게 좋아요/어때요가 자연스러울 때가 많아요. 예) “일찍 자는 게 좋아요.”

Common mistake: Adjectives and obligation

형용사에도 가능하지만 맥락이 어색하면 부자연스러워요. 예) “조용해야 돼요”(방침/규칙)는 OK, “피곤해야 돼요”는 일반적으로 이상함.

6) Mini dialogue

A: 오늘 보고서 제출해야 돼요?
oneul bogoseo jesulhaeya dwaeyo?
Do we have to submit the report today?

B: 네, 오후 세 시까지 내야 해요.
ne, ohu se sikka-ji naeya haeyo.
Yes, by 3 p.m.

7) Your turn

  1. 오늘 반드시 해야 할 일 3가지를 -아/어야 돼요로 써 보세요.
  2. 금지 문장 2개를 ~(으)면 안 돼요로 바꿔 보세요.

8) FAQ

Q. Which sounds more natural: “해야 돼요” or “해야 해요”?
A. Both are correct. In everyday speech, “해야 돼요” is more common; in formal or written contexts, “해야 해요” also works well.
두 표현 모두 맞습니다. 일상 회화에서는 “해야 돼요”가 더 흔하고, 격식 있는 문장이나 문어체에서는 “해야 해요”도 자연스럽습니다.

Q. How do I say “don’t have to”?
A. Use “안 해도 돼요” or “하지 않아도 돼요.” Both mean you’re not required to do it.
“안 해도 돼요” 또는 “하지 않아도 돼요”를 사용합니다. 둘 다 ‘의무가 없다’는 뜻이에요.

Q. How do I say “must not” (prohibition)?
A. Use “~(으)면 안 돼요.” Example: “You must not take photos here” → “여기서는 사진을 찍으면 안 돼요.”
금지는 “~(으)면 안 돼요”로 표현합니다. 예: “여기서는 사진을 찍으면 안 돼요.”

Q. How can I express a past obligation (should have done)?
A. Use “~았/었어야 했어요.” Example: “We should have left earlier” → “더 일찍 떠났어야 했어요.”
과거 의무는 “~았/었어야 했어요”를 씁니다. 예: “더 일찍 떠났어야 했어요.”

Q. Is “되요” correct spelling?
A. No. The correct form is “돼요” (되 + 어 → 돼). Example: “해야 돼요,” not “해야 되요.”
아니요. 올바른 표기는 “돼요”입니다(‘되+어’가 줄어 “돼”). 예: “해야 돼요”가 맞고 “해야 되요”는 틀려요.

🎓 Practice with me

Want these obligation patterns to sound natural in real conversations? Book an italki 1:1 lesson. We’ll drill -아/어야 되다/하다, learn when to use prohibition (~(으)면 안 돼요), and role-play everyday situations so it sticks.

🗓️ Update & Transparency

Last updated: 2025-08-30 (KST)

This guide will be revised and improved based on learner feedback. Until I’m 100% satisfied.
학습자 피드백에 따라 계속 보완합니다. 완전히 만족할 때까지 업데이트해요.

Post a Comment
Feel free to ask me all! Not only scam! :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