🧩 Batchim & Complex Clusters Deep Dive #2 (ㄳ/ㄵ/ㄶ/ㄺ…)

🧩 Batchim & Complex Clusters Deep Dive (ㄳ/ㄵ/ㄶ/ㄺ…)
· en
Do words like 읽다, 앉다, 없다, 값, 닭 confuse you? This lesson explains how each double batchim works in everyday speech—with easy rules and quick practice.
복잡한 받침(두 글자 받침)이 어렵나요? 이 글에서는 읽다/앉다/없다/값/닭 같은 단어를 쉬운 규칙으로 정리해요.
🎧 About this 5-part series (open)
- Ep.1 Essentials — 연음, 받침, 동화, ㅎ 규칙
- Ep.2 Batchim Deep Dive — 복합받침(ㄳ/ㄵ/ㄶ/ㄺ…) & 읽다/읊다
- Ep.3 ㅎ Rules — ㅎ 약화·탈락·거센화
- Ep.4 Assimilation — 비음화/유음화/구개음화/경음화
- Ep.5 Prosody — 정중 억양/끝말 톤
🎯 Learning Goals
- Learn the default sound of each complex batchim (ㄳ, ㄵ, ㄶ, ㄺ, ㄻ, ㄼ, ㅀ, ㄿ, ㅄ).
- Know what changes before a vowel (which part moves to the next syllable).
- Master real words: 읽다/읽어요, 앉다/앉아요, 없다/없어요, 값/값이, 닭/닭이, 삶/삶이, 싫다/싫어요…
📚 Tap to open Table of Contents
⚡ Key Facts
- Closed vs. Open: 자음/종결 앞에서는 기본값만 살려 읽고, 모음 앞에서는 한쪽이 다음 음절로 넘어갑니다.
- ㅎ effect: ㅀ/ㄶ처럼 ㅎ이 섞이면 이웃 소리가 세지거나(거센소리) ㅎ이 약해집니다.
- Listen for common words: 읽다/앉다/없다/싫다/닭/값/삶 — 자주 쓰는 단어로 규칙이 빨리 몸에 배어요.
한 줄 요약: “자음 앞=간단하게, 모음 앞=한쪽을 옮겨서”. 최대한 많은 연습!!
💡 Concept & When to Use
Rule A (Closed: end or consonant next) — Keep the standard coda value only.
- ㄳ → [ㄱ] (몫[목]) · ㅄ → [ㅂ] (없다[업따]) · ㄵ → [ㄴ] (앉다[안따])
- ㄶ → [ㄴ] (많다[만타]) · ㄺ → [ㄱ] (읽다[익따]) · ㄻ → [ㅁ] (삶[삼])
- ㄼ → [ㄹ] (넓다[널따]) · ㅀ → [ㄹ] (싫다[실타]) · ㄿ → [ㅂ] (읊다[읍따])
Rule B (Open: vowel next) — One consonant moves to the next syllable; sometimes ㅎ weakens or affects the neighbor.
- 값이 → [갑시], 몫이 → [목시] (ㅅ이 넘어감)
- 앉아요 → [안자요] (ㅈ이 넘어감)
- 많아요 → [마나요] (ㅎ 약화/탈락)
- 읽어요 → [일거요], 닭이 → [달기] (ㄱ이 넘어감)
- 삶이 → [살미] (ㅁ이 넘어감)
- 넓어요 → [널버요] (ㅂ이 넘어감)
- 싫어요 → [시러요] (ㅎ 약화/탈락 + ㄹ 유지)
- 읊어요 → [을퍼요] (ㅍ이 넘어감)
📝 Examples / Patterns
- ㄳ — 값[갑], 값이[갑시] · 몫[목], 몫이[목시]
- ㄵ — 앉다[안따], 앉아요[안자요]
- ㄶ — 많다[만타], 많아요[마나요]
- ㄺ — 읽다[익따], 읽어요[일거요] · 닭[닥], 닭이[달기]
- ㄻ — 삶[삼], 삶이[살미]
- ㄼ — 넓다[널따], 넓어요[널버요] · 밟다[밥따], 밟아요[발바요]
- ㅀ — 싫다[실타], 싫어요[시러요]
- ㄿ — 읊다[읍따], 읊어요[을퍼요]
- ㅄ — 없다[업따], 없어요[업써요]
🗣 Practice Dialogue
A: 이 단어 읽어요 어떻게 발음해요?
How do you pronounce “읽어요”?
B: [일거요]처럼 말해요. ㄺ에서 ㄱ이 다음으로 가요.
Say it like [il-geo-yo]; ㄱ moves to the next syllable.
A: 그럼 앉아요는요?
What about “앉아요”?
B: [안자요]예요. ㅈ이 넘어가요.
[an-ja-yo]; ㅈ shifts forward.
🚫 Common Mistakes & Fixes
- ❌ 읽어요 [익-거-요] → ✅ [일거요] — ㄺ의 ㄱ이 모음 앞에서 이동.
- ❌ 앉다 [안-다] → ✅ [안따] — ㄵ 뒤 ‘ㄷ’이 된소리.
- ❌ 없다 [업-다] → ✅ [업따] — ㅄ 뒤 ‘ㄷ’ 된소리.
- ❌ 싫어요 [실-허-요] → ✅ [시러요] — ㅀ의 ㅎ 약화/탈락.
- ❌ 밟다 [발-다] → ✅ [밥따] — ㄼ 종성 값·된소리.
🎯 Pop Quiz
- 빈칸: “값__ 비쌉니다” → 정답 발음?
Answer
[갑씨 비쌉니다] → 값이 [갑시]
- 올바른 발음 고르기: A) 앉다[안다] B) 앉다[안따]
Answer
B) [안따]
- 읽어요의 표기는 같지만, 발음은?
Answer
[일거요]
- 싫어요의 표준 발음?
Answer
[시러요]
- 읊어요의 표준 발음?
Answer
[을퍼요]
👩🏫 Teacher’s Tips
Tip 1: Group by pattern — Drill ㄳ·ㅄ (move ㅅ), ㄵ (move ㅈ), ㄺ (move ㄱ)… Don’t memorize lists; practice movement rules.
패턴으로 묶어 연습해요. “어떤 소리가 앞으로 움직이나”를 중심으로 기억하면 쉬워요.
Tip 2: Closed vs. open — Read the word, then add a vowel next: 값 → 값이, 삶 → 삶이, 닭 → 닭이. Feel the change.
자음 앞/모음 앞을 번갈아 읽어 보세요. 소리 변화가 몸에 익어요.
Tip 3: Shadow minimal pairs — 읽다/읽어요, 앉다/앉아요, 없다/없어요. Record and compare linking.
비슷한 두 형태를 녹음해 비교해요. 연음 차이를 귀로 확인해요.
Tip 4: Mouth map — For ㄵ→[안따], build a firm [tt]. For ㅀ→[시러], relax ㅎ and keep ㄹ light.
[안따]처럼 된소리는 단단하게, [시러]처럼 ㅎ은 힘을 빼고 ㄹ은 가볍게 해요.
Tip 5: 3-minute routine — One cluster, three words, one sentence (e.g., 값/값이, 닭/닭이 → “닭이 값이…”).
하루 3분: 겹받침 1종, 단어 3개, 문장 1개를 말하고 녹음해요.
🌀 Real-life Patterns
- 닭이 맛있어요 → [달기 맛이써요]
- 값이 조금 비싸요 → [갑시 조금 비싸요]
- 오늘은 일거요 많이 했어요(읽어요) → [오늘은 일거요 많이 했어요]
- 앉아서 쉬어요 → [안자서 쉬어요]
🔗 External Links (Trusted)
👋 Practice with Me
Want personalized feedback on complex batchim? Book a 1:1 italki session.
If this helped, please share it with your Korean-learning friends. Your support keeps this blog alive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