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WY4YU8dwpNjzdlShgDPlGEMGiiZlYit8ufkzM3z
Bookmark
내부링크 위젯

Study smart, speak real,explore Korea.

Pick your level or browse the latest posts—TOPIK study, everyday phrases, culture insights, and real-life tips in Korea.

🎤 How to Write a Speech in Korean – Advanced Level (TOPIK 5–6)

✅ Updated · This article is continually refined based on readers’ requests.

🎤 Write a Powerful Korean Speech (TOPIK 5–6)

Need to impress in Korean—at a ceremony, pitch, or conference?

이 글은 격식 있는 구조, 자연스러운 존대, 문화 뉘앙스까지 한 번에 정리해 줍니다. 바로 쓰고 말할 수 있는 문장도 드려요.

📌 Helpful before you start

☰ Contents
  1. Why speech writing matters
  2. Formal structure
  3. Key phrases & honorifics
  4. Opening/Closing samples
  5. Practice task
  6. Workplace advantages
  7. FAQ
  8. Explore more & next steps
  9. italki mini-session

💡 Why speech writing matters

A good Korean speech shows language control and respect. You’ll combine clear structure with humility and indirectness that audiences expect.

연설문은 말투·격식·태도가 모두 드러나요. 존중하는 표현깔끔한 구조가 핵심이에요.

📝 Formal structure (3 parts)

  • Opening — greeting + thanks: “존경하는 … 여러분, 오늘 이 자리에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”
  • Main body — message/story/evidence in 2–3 points; signpost with “첫째, 둘째, 셋째”.
  • Closing — appreciation + hope/call to action: “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 함께 나아가길 바랍니다.”

Tip: Hierarchy matters. Name senior groups first (예: “사장님, 임원 여러분, 동료 여러분”).

🔑 Key phrases & honorifics

  • 먼저, 이 자리에 함께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. — Thank you for being here.
  • 존경하는 여러분께 말씀드리고자 합니다. — I wish to address you with respect.
  • 이 기회를 통해 배운 점을 공유하고자 합니다. — I would like to share what I learned.
  • 마지막으로, 여러분의 발전을 기원합니다. — I wish you continued success.

말끝은 -습니다/-니다로 통일하세요. 한 문단에 반말·해요체가 섞이면 불안정하게 들립니다.

💬 Opening & closing samples

Opening

존경하는 교수님과 학우 여러분, 오늘 이 자리에 서게 되어 큰 영광입니다. 지난 1년의 연구에서 얻은 배움을 나누고자 합니다.

Closing

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 앞으로도 함께 성장하며 더 나은 변화를 만들어 가길 바랍니다.

🗣 Practice — write your opening

  1. Audience: 교수님/동료/고객 중 선택
  2. Purpose: 감사·발표·전달 중 1개
  3. One-line opening in –습니다체로 작성

예시: “존경하는 동료 여러분, 함께한 시간에 깊이 감사드리며 오늘의 결과를 간단히 보고드리겠습니다.”

🏢 Why this helps at Korean workplaces

  • Trust: 존중하는 말투는 신뢰와 협업을 빠르게 높입니다.
  • Clarity: 구조화된 말하기(첫째/둘째/셋째)로 핵심 전달이 빨라집니다.
  • Leadership signal: 상황에 맞는 높임말은 “조직 이해도”를 보여 주어 승진/발표 기회에 유리합니다.

❓ FAQ

1) Should I always use –습니다 in speeches?

Yes for formal audiences. For team stand-ups or demos, –아요/어요 can work if everyone is on equal footing. 격식 있는 자리에서는 -습니다체를 권장해요.

2) How many minutes is ideal?

Three to five minutes with 2–3 clear points. 짧고 또렷한 3–5분이 가장 전달이 좋아요.

3) Can I quote others directly?

Yes, but prefer indirect speech for summaries: “…라고 했습니다/…다고 전했습니다.” 간접화법을 쓰면 매끄럽고 공손해요.

📅 italki mini-session (10–15 min)

Bring your draft (200–300 words). We’ll convert it into a polished –습니다 speech with natural signposting.

Get coaching on italki

⬆️ Back to Top

Post a Comment
Feel free to ask me all! Not only scam! :)